반응형
금리란?
자금을 대차할 때 부과하는 사용료
=이자율?
=기회비용
*물가를 고려하지 않아도 돈의 가치는 달라진다.
떡볶이가 100원에서 3000원이 되었을때? 당연히 돈의 가치는 달라진다.
그러나, 떡볶이가 똑같이 3000원일지라도 금리가 1%일 때와 금리가 3.5%일 때는 다르다.
코로나 이전에 2020년 기준금리 1%
지금 3.5%
즉, 현재의 1000원의 가치가 2020년보다 더 높다.
이미 성장을 많이 한 나라 = 성장 잠재력이 낮은 나라 → 금리가 낮다. (돈의 수요가 낮다. 돈을 굴려서 할 게 없고, 돈 굴려서 수익을 얻을 게 적으니까!)
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다 → 성장 잠재력이 많은 나라 → 금리가 높다.
반응형
'부자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왕초보 배당주 4일차 과제 (0) | 2024.04.14 |
---|---|
왕초보 배당주 3일차 과제 (0) | 2024.04.14 |
부동산 용어 정리 시리즈 2 (0) | 2024.02.26 |
나의 작고 소중한 주식ㅎㅎ- 미니스탁 (0) | 2023.12.29 |
23.12.10 기준 미니스탁 수익률 +22.53% (0) | 2023.1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