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분류 전체보기38

금리공부 *1960년대 1970년대 금리가 높은 이유가 뭐였을까!! 이렇게 많은 돈을 주고 많은 이자를 내도, 내가 그것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기대치가 반영됨(돈의 가치가 높다 = 돈의 수요가 높다)2%이하 성장. 금리가 떨어질수 밖에 없음.전세계 거의 모든 나라들이 금리가 떨어지고 있음. 옛날에는 할 게 많았으나 요즘은,,, ㅠ *통화정책은 논외로!한국은행은 시장금리를 정하는 것 X 초단기 대출금리 (7일물 레포금리, 이자율) 결정, 기준금리 O (돈의 최소가치)를 결정함!!*통화정책 = 경기 안정화를 위해 이자율과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그 중에 금리를 정하는 것이 가장 기본 중에 기본!기준금리를 조정 → 돈의 가치 조절 →  돈의 수요 조절 가능!금리 인상 → 은행에서 통화량 흡수 → 돌아다니는 .. 2024. 3. 21.
금리 설명 금리란?자금을 대차할 때 부과하는 사용료=이자율?=기회비용*물가를 고려하지 않아도 돈의 가치는 달라진다.떡볶이가 100원에서 3000원이 되었을때? 당연히 돈의 가치는 달라진다.그러나, 떡볶이가 똑같이 3000원일지라도 금리가 1%일 때와 금리가 3.5%일 때는 다르다.코로나 이전에 2020년 기준금리 1%지금 3.5%즉, 현재의 1000원의 가치가 2020년보다 더 높다.이미 성장을 많이 한 나라 = 성장 잠재력이 낮은 나라 → 금리가 낮다. (돈의 수요가 낮다. 돈을 굴려서 할 게 없고, 돈 굴려서 수익을 얻을 게 적으니까!)돈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다 → 성장 잠재력이 많은 나라 → 금리가 높다. 2024. 3. 21.
부동산 용어 정리 시리즈 2 **주거 전용 면적: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공용면적을 제외하고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 방과 거실, 주방, 화장실 등이 이에 속한다. 발코니는 전용 면적에서 제외 ​ **공용 면적 공동주택 중 주거 전용 면적 이외의 2가구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, 승강기실, 복도, 옥탑, 전기 및 기계실, 보일러실, 지하실, 지하주차장, 관리사무실, 경비실, 노인정 등의 면적 ​ **다가구주택: 하나의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도록 건축된 3층 이하 주택. 등기부등본상 단독주택의 범주에 속해 하나의 건물에 소유주는 한명이다. ​ **다세대주택: 하나의 건물 내에서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도록 건축된 4층 이하 주택. 주택건설촉진법상 공동주택에 속하며, 등기부등본상 여러 세대로 나누어서 등기되어 소유주가.. 2024. 2. 26.
부동산 용어 정리 ❤️LTV(loan to value ratio): 담보 인정 비율.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.예) 시세가 5억원인 아파트를 담보로 돈을 빌릴 때, 60%의 LTV가 적용된다면,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은 5억원 X 60%(0.6)=3억원이다.*LTV=(은행의 대출 금액)/(담보 물건의 실제가치)X100 ❤️DTI(debt to income): 총 부채 사오한 비율.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 한도를 정하는 계산 비율.예) 연봉이 5000만원인 A씨가 DTI 50%를 적용받는다면 연간 2500만원까지 대출 상환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, 총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500만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규모가 제한된다.5000만원X50%(0.5)=2500만원*D.. 2024. 1. 10.
나의 작고 소중한 주식ㅎㅎ- 미니스탁 23.11.29 현재 🌷399,523+67,726+18.26% 2023. 12. 29.
23.12.10 기준 미니스탁 수익률 +22.53% 대표사진 삭제 오른쪽 정렬오른쪽 정렬왼쪽 정렬왼쪽 정렬가운데 정렬가운데 정렬 사진 편집 작게작게문서 너비문서 너비옆트임옆트임 삭제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 2023. 12. 29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