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자되기

금리 공부

우리 다 같이 부자되어봐요 2024. 7. 2. 15:27
반응형

 

*1960년대 1970년대 금리가 높은 이유가 뭐였을까!! 이렇게 많은 돈을 주고 많은 이자를 내도, 내가 그것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기대치가 반영됨(돈의 가치가 높다 = 돈의 수요가 높다)

 

2%이하 성장. 금리가 떨어질수 밖에 없음.

 

전세계 거의 모든 나라들이 금리가 떨어지고 있음. 옛날에는 할 게 많았으나 요즘은,,, ㅠ

 

*통화정책은 논외로!

 

 

한국은행은 시장금리를 정하는 것 X 초단기 대출금리 (7일물 레포금리, 이자율) 결정, 기준금리 O (돈의 최소가치)를 결정함!!

 

*통화정책 = 경기 안정화를 위해 이자율과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

그 중에 금리를 정하는 것이 가장 기본 중에 기본!

기준금리를 조정 → 돈의 가치 조절 → 돈의 수요 조절 가능!

 

 

금리 인상 → 은행에서 통화량 흡수 → 돌아다니는 통화량 줄어듦 → 물가 하락

 

*전통적 통화 정책

 

-비전통적 통화정책(최근에 생긴 것)

양적완화(q.e)

 

금리 쓸 데는 이미 0%, 시장이 박살남.

 

금리를 0%까지 돌렸는데도 돈이 안 돌아다님.

 

돈이 돌아야 부동산, 기업 등이 산다.

 

양적완화의 영향 → 자산가격 상승 but 물가는 내려감

 

정부의 정책은 재정정책: 세출이나 세입을 변경시켜 경기를 조절하는 정책

 

재정정책과 통화정책 같이 풀었는데 물가 올라감...!!!

 

그래서 미국이 금리 인상해서 통화량 흡수해서 물가 안정시키려고 함.

 

경기 과열이 수그러듦.

 

돈 풀리면 아파트 짓고, 투자하고 여기저기 경기가 과열됨..

 

따라서 경기가 과열되었다고 생각할 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임

 

이 원리를 활용하여 금리 정책쓰는 것임.

 

 

 

#금리 #공부 #경제공부 #재테크 #공부 #스터디 #돈

 

반응형